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남구 제6선거구(울산)

덤프버전 : (♥ 0)

||
파일:남구_제6선거구(울산)8.png
선거인 수36,336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울산광역시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남구 일부
대현동, 선암동
시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이영해 (재선)

1. 개요
2. 역대 선거 결과[1]



1. 개요[편집]


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남구의 동부에 위치한 대현동과 선암동 일대를 관할한다. 윗 지역구와 마찬가지로 공단 지역때문에 관할 구역이 굉장히 커 보인다.

석유화학 산업단지의 영향력이 강한데다 대현동의 재개발이 합쳐지며 남구 안에서 가장 보수성향이 약한 지역이다. 그리고 그 점이 맞물려 진보정당의 지지율도 남구에서 가장 강한 편이다. 하지만 전체적인 정당 지지율은 두 동 모두 대체로 국민의힘이 1등을 달리는 편이다. 그런고로 자유한국당이 처참히 박살난 7회 지선을 제외하면 모두 보수 성향 후보의 승리였다.

2. 역대 선거 결과[2]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남구 제4선거구
제2대심규화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[3]
제3대2002년 7월 1일 ~ 2004년 2월 14일[4][5][6]
박부환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4년 6월 6일 ~ 2006년 6월 30일
제4대2006년 7월 1일 ~ 2010년 6월 30일
남구 제6선거구
제5대김종무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0년 7월 1일 ~ 2014년 3월 26일[7][8][9]
제6대
ta-hash-start=w-a172074db4096166024462928e3e4b0e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4년 7월 1일 ~ 2018년 6월 30일
제7대장윤호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8년 7월 1일 ~ 2022년 6월 30일
제8대이영해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

2.1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4선거구
야음1동, 야음2동, 선암동, 개운동, 장생포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심규화(沈揆華)11,354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44.45%당선
3조현수(趙顯洙)4,7143위

ta-hash-start=w-1ab60b5e8bd4eac8a7537abb5936aadc[[파일: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.svg
18.45%낙선
4박영분(朴英分)4,6784위

무소속

18.31%낙선
5장명수(張明洙)4,7972위

무소속

18.78%낙선
선거인 수46,919투표율
55.93%
투표 수26,244
무효표 수701

2.2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4선거구
야음1장생포동, 야음2동, 선암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심규화(沈揆華)16,035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68.47%당선
3김만현(金萬賢)7,3822위

ta-hash-start=w-72d2dc616bbb33717dff9126539887cf[[파일: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.svg
31.52%낙선
선거인 수50,464투표율
47.58%
투표 수24,011
무효표 수594

2.3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4선거구
야음1장생포동, 야음2동, 선암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동해(李東海)4,8092위

ta-hash-start=w-459d9e6bc01978e4162af9efa6f9a933[[파일:열린우리당 로고타입.svg
18.72%낙선
2박부환(朴富煥)15,556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60.56%당선
4박수일(朴受一)4,7033위

ta-hash-start=w-5b5b50e4cd37792ec9098ab5de1f8020[[파일: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.svg
18.31%낙선
6엄균용(嚴均鎔)6174위

파일:희망사회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.40%낙선
선거인 수52,453투표율
49.57%
투표 수26,003
무효표 수318

2.4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6선거구
대현동, 선암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종무(金鍾武)8,091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39.29%당선
5박수일(朴受一)6,4082위

ta-hash-start=w-16a8377b6822cf94bd3e69f57df6dac6[[파일: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.svg
31.11%낙선
7허원현(許元現)6,0943위
29.59%낙선
선거인 수37,356투표율
56.00%
투표 수20,922
무효표 수329

2.5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6선거구
대현동, 선암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종무(金鍾武)11,0581위
53.67%당선
4유진기(柳鎭基)3,5583위
17.27%낙선
5이상기(李相起)5,9862위
29.05%낙선
선거인 수37,316투표율
56.87%
투표 수21,222
무효표 수620

2.6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6선거구
대현동, 선암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장윤호(張倫豪)10,2131위
44.36%당선
2이상기(李相起)9,3992위
40.82%낙선
6김만현(金萬賢)3,4083위
14.80%낙선
선거인 수35,983투표율
66.13%
투표 수23,797
무효표 수777

2.7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6선거구
대현동, 선암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최성욱(崔盛旭)6,8542위
37.66%낙선
2이영해(李英海)11,3431위
62.33%당선
선거인 수36,336투표율
50.73%
투표 수18,435
무효표 수238
더불어민주당에서는 장윤호 시의원이 남구청장 선거를 준비 중이라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. [10] 최성욱 전 남구 을 지역위원회 사무국장이 단수공천을 받았다.

국민의힘에서는 민선5기 당시 비례대표를 지낸 이영해 전 시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.

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:1구도가 형성되었다.

개표 결과 이영해 후보가 후보가 넉넉한 격차로 8년 만에 시의회에 복귀했다. 동별로 보면 대현동에서 61.5% : 38.5%로 상대적으로 격차가 적었으며, 선암동에서 65.6% : 34.4%로 30%p 이상으로 벌려지면서 격차가 커졌다.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8.4% : 41.2%로 관내투표에 비해 최성욱 후보가 선전하였으나 결국은 37% 후반대를 얻는 데 그쳤다.


[1]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,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.[2]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,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.[3] 야음1동, 야음2동, 선암동, 개운동, 장생포동[4] 17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.[5] 야음1장생포동, 야음2동, 선암동[6] 1998년 10월 17일에 개운동과 장생포동에 속했던 용잠동이 선암동에 통합되었으며, 그 나머지 장생포동 나머지 부분과 야음1동는 야음1장생포동으로 통합되었다.[7] 6회 지선 남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[8] 대현동, 선암동[9] 2007년 2월 26일에 야음2동이 대현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.[10] 막상 이미영 시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아 경선 기회조차 못 얻었고, 그 이미영 후보도 본선에서 두배 가까운 격차로 서동욱 구청장에게 패했다.